위험성평가 이행 점검 매뉴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본문
공공기관 위험성평가 이행 점검 매뉴얼
이 자료는 공공기관의 위험성평가 수행을 어떻게 추진하고 그 결과의 점검에 대한 내용입니다.
위험성평가는 “서류용 절차”가 아니라 현장에서 사고를 막는 가장 현실적인 안전 도구입니다.
준비–참여–파악–판단 및 결정–개선–공유의 흐름을 따라가면 초보자도 쉽게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습니다
1. 위험성평가의 목적
단순히 법을 지키기 위한 절차가 아닙니다.
우리 현장의 위험을 미리 찾아내고, 사고가 나지 않도록 줄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즉, 사전 예방이 목표입니다.
2. 준비 단계 (사전 준비)
평가팀 구성: 안전관리자, 작업자, 관리자가 함께 참여합니다.
자료 확보: 법령, 안전 기준, 과거 사고 사례, 작업 매뉴얼 등을 모읍니다.
현장 점검 계획: 실제 작업 환경을 돌며 위험 요인을 체크합니다.
3. 근로자 참여
작업자는 위험을 가장 잘 아는 사람입니다.
작업 경험, 아차사고 사례, 불편했던 점 등을 공유해야 진짜 위험을 잡아낼 수 있습니다.
의견을 반영하면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옵니다.
4. 위험성 파악 (찾기)
현장에 있는 사람·설비·작업환경 속 위험요인을 찾습니다.
정상/비정상 상황을 비교해 보며, “이럴 때 사고가 날 수 있겠다”를 구체적으로 기록합니다.
작은 위험도 놓치지 않고 적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위험성 결정 (판단하기)
발견한 위험이 얼마나 자주 발생할 수 있는지(빈도),
**발생하면 얼마나 심각한 피해가 날 수 있는지(강도)**를 평가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허용 가능한가, 반드시 개선해야 하는가”**를 판단합니다.
6. 개선 대책 수립
위험을 줄이는 방법은 우선순위가 있습니다:
제거 (위험요인 없애기)
대체 (더 안전한 재료·방법으로 바꾸기)
공학적 대책 (기계·장치로 막기)
관리적 대책 (작업절차·교육 강화)
보호구 착용 (마지막 보완책)
7. 기록과 공유
모든 과정을 문서화해야 합니다.
작업 전 안전회의(TBM)에서 공유하면 근로자가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습니다.
기록은 추후 점검·감사 때도 중요한 근거가 됩니다.
첨부파일
- 005-2022 위험성평가 이행점검 매뉴얼.pdf (1.9M) 0회 다운로드 | DATE : 2025-09-30 23:12:55